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컴공과 가려면 해야되는게 뭐가 있나요.. 고등학생인데 컴공과 가고싶어서 그런데 컴공과인 사람들 대부분 자사고 과학고같던데 일반고는
고등학생인데 컴공과 가고싶어서 그런데 컴공과인 사람들 대부분 자사고 과학고같던데 일반고는 힘들까요..?컴공과 가려면 컴퓨터 잘 알아야하나요..?컴공과 가려면 뭘 해야하죠..?
고등학생이 컴퓨터공학과에 진학하려면 아래와 같은 준비 과정과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크게는 입시 준비, 학업 역량, 실전 경험, 진로 탐색으로 나누어 볼 수 있어요.
✅ 1. 어떤 과를 목표로 하나요?
일반적으로 말하는 "컴퓨터공학과"는 대부분 공학계열에 속합니다.
대학에 따라 이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컴퓨터공학과 / 소프트웨어학과 / AI학과 / 전산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ICT융합학부 등
✅ 2. 입시 준비 전략
수시 vs 정시
수시 (학생부종합, 교과, 논술 등)
내신 성적 + 비교과 활동 + 면접(경우에 따라)
자기소개서나 진로활동, 동아리, 수상경력이 중요
정시 (수능 위주)
수능 중심 평가. 수학/과학 영역 비중 큼
주요 과목 공부 전략
과목
이유
수학 (미적분, 기하 포함)
프로그래밍, 알고리즘, 인공지능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필수
과학 (물리 or 과학탐구)
하드웨어, 전기전자 계열로 확장할 경우 유리
영어
논문·문서 해석, 코딩 관련 자료 검색 시 매우 중요
정보 과목
일부 대학에서는 내신 가산점 or 관심도 표현에 도움이 됨
✅ 3. 실전 준비: 활동·경험이 중요해요
이런 활동들을 해보세요:
학교 정보 관련 동아리 (코딩, 알고리즘, 웹 개발 등)
생활기록부에 남을 수 있는 활동: 소프트웨어 관련 대회 참가, 동아리 발표, 독서활동 등
코딩 기초 공부: Python, C, Java 등 온라인 무료 강좌 활용
소프트웨어/정보올림피아드, 해커톤 등 참가하면 큰 장점
IT 관련 독서: ‘코딩으로 세상을 바꾸다’, ‘인공지능은 뇌를 닮았을까?’ 같은 교양서 추천
✅ 4. 대학 입시 외에도 알아두면 좋은 것
항목
설명
SW특기자 전형
일부 대학은 코딩 실적·대회 수상 등을 바탕으로 특기자 선발 (예: 고려대, 연세대 등)
정보올림피아드 / K-해커톤 / AI경진대회
대회 실적은 진로 집중도와 역량을 어필하는 좋은 방법
자격증 (선택)
정보처리기능사, COS, GTQ 등 입시 영향은 적지만 학업 의지 보여줄 수 있음
✅ 5. 진로 탐색을 위해 알아두면 좋은 것
컴퓨터공학과 진학 후 배울 것들:
프로그래밍 언어(C, Java, Python)
자료구조, 알고리즘
운영체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인공지능, 빅데이터, 보안, 앱개발 등 다양한 진로로 확장 가능
✅ 요약 정리
준비 항목
할 일
교과 공부
수학(미적분), 과학(물리/지학), 영어 중요
비교과 활동
동아리, 대회, 독서활동 등 정보/프로그래밍 관련 활동
코딩 실력
Python, C 등 기본 익히기 (생활기록부에 활동 남기기)
입시 전략
수시: 내신·비교과 / 정시: 수능 중심 (수학 필수)
진로 탐색
관련 학과 조사, 학과 체험 프로그램 참여 등
당신에 도움이 되는 블로그, 우리들의 일상입니다. 한번 둘러보세요~^^ image 우리들의 일상
425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