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진로 정하는 부분에 있어 보통 어떻게 정하세요? 대학교 졸업 앞두고 하고 싶은 일이 명확히 없어서 고민이 됩니다ㅜ동기들은
대학교 졸업 앞두고 하고 싶은 일이 명확히 없어서 고민이 됩니다ㅜ동기들은 대학원이나 취직으로 명확한 길이 있는데, 저 혼자 없어서 혼란스러워요,,부모님은 취직해서 돈 벌다보면 하고 싶은 일 찾게 될거다 라고 하는데, 그러고 싶지 않고 처음부터 잘 찾아서 하고 싶어요!보통 이런 고민 있을 때 어떻게 해결하시는 편이세요?
졸업을 앞둔 시기에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나에게 맞는 답을 찾아보려는 노력은 정말 중요하고 소중한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큰 고민없이 주어지는 상황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보다 훨씬 의미있는 시간을 가지고 계신 것이라는 말씀을 먼저 드립니다.
부모님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취직해서 돈 벌다보면 하고 싶은 일을 찾게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의 의미는 어떤 경험이든 먼저 해보라는 뜻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준비하고 계획하느라 시작하지 못하는 것 보다는 어떤 것이든 조금이라도 관심가는 것이 있으면 실행하고 경험하면서 하나씩 찾아가는 방법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 제안하시는 방법도 나름 괜찮은 방법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가능한 답을 찾아서 시작하고 싶은 질문자님의 마음도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어떻게 하면 답을 찾을 수 있을까요?
하고 싶은 일이 명확히 없을 경우, 좀 더 명확히 표현하면 '하고 싶은 일을 명확히 찾지 못했을 경우'에는 내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재미있어서 몰입했던 일의 경험을 떠올려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보통의 경우 '게임할 때요', '유튜브 볼 때요'라고 답을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소비경험이 아닌 생산경험에서 몰입한 경우를 생각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물론, 게임과 유튜브 시청도 어느 누구에게는 생산경험이 될 수도 있지만 보통의 경우 그렇지 않아서 드린 말씀입니다.
어느 책에서 제안하는 방법도 내가 몰입했던, 재미있었던 일을 찾는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어서 말씀드립니다.
'즐거움 측정기'라고 불리는 손목에 차는 기계를 차고 있다. 이 기계는 차고 있는 사람이 느끼는 즐거움의 정도를 측정한다. 얼마나 열정적이고 역동적인 삶을 사는지, 호기심을 갖고 삶에 감사하는지 측정하는 기계다. 즐거움의 정도는 1에서 10등급으로 나눠 측정되는데, 1은 '시궁창에 빠진 것 같은 불쾌한 기분'을, 10은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상태의 행복'을 가리킨다. 이 기계를 차고 1년 동안 지수가 7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1억 달러가 생긴다. 이 기계를 찬 당신은 가장 먼저 무슨 일을 할 것인가?
이 질문에 답을 찾는 시간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이런 시간을 처음 가져보시는 분들은 답을 찾는데 조금 오래 걸릴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좀 걸려도 괜찮습니다. 충분히 고민해보십시오. 그리고 100점짜리 답이 아니어도 나름 답을 찾았다 싶으시면 그걸 먼저 경험해보세요. 꼭 직업적인 경험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관련된 일을 하시는 분을 찾아가서 인터뷰하면서 간접경험하셔도 됩니다. 그렇게 하나씩 찾아서 경험하시다보면 질문자님께서 찾으시는 답에 가까워지실겁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