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공유기 연결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1개 사무실을 사용 중인데 30m정도 떨어진 같은 층에
안녕하세요? 현재 1개 사무실을 사용 중인데 30m정도 떨어진 같은 층에 1개소를 확장하려고 합니다이 때 확장 사무실에서 기존 사무실에서 사용하던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을까요?예) 통신사 인터넷 -> 모뎀 -> 기존사무실 공유기 -> 허브 -> cat6 -> 추가 유무선공유기(확장사무실) 위 방법이 가능할까요? 확장 사무실에서는 기존사무실의 공유기 신호도 안잡히고 단독 사무실이라서 인터넷을 추가 신청하기도 곤란하고 비용 문제도 있어서요지식 나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인가남 공식 지식 파트너로 답변드립니다.
요약부터 말씀드리면, 현재 구상하신 구성(통신사 모뎀 → 기존 사무실 공유기 → 허브(또는 스위치) → Cat6 → 확장 사무실의 공유기)은 가능한 방식입니다. 다만 안정성과 설정 편의성을 위해 권장되는 연결 방법과 주의점을 아래에 정리해 드립니다.
- 기존 공유기 LAN 포트 → 기가급 스위치(허브 대신 권장) → Cat6 → 확장사무실 내 공유기(혹은 AP)의 LAN 포트
- 확장사무실에 놓은 공유기는 라우터 모드(즉 WAN 포트를 통한 별도 NAT) 대신 액세스포인트(AP)처럼 사용합니다. 구체적으로:
1) 확장 공유기의 DHCP 서버를 비활성화하세요.
2) 확장 공유기의 LAN IP를 기존 공유기와 같은 서브넷에서 겹치지 않는 주소로 고정하세요(예: 기존 공유기 192.168.0.1이면 확장 공유기는 192.168.0.2).
3) 기존 공유기 LAN 포트와 확장 공유기의 LAN 포트를 직접 연결합니다(확장 공유기의 WAN 포트 사용 금지).
4) 무선 기능을 사용할 경우 SSID와 비밀번호를 동일하게 설정하면 이동 시 로밍이 편리하고, 채널은 서로 간섭이 적도록 수동으로 분리(예: 2.4GHz에서 1/6/11 중 분리)하세요.
- 허브 vs 스위치: 허브는 충돌과 성능 저하 우려가 있어 기가급 스위치(Unmanaged Gigabit Switch)를 권장합니다.
- 케이블 길이: Cat6는 100m 이내면 문제없습니다. 30m이면 충분히 OK입니다.
- 대역폭 공유: 두 사무실이 같은 회선을 공유하므로 트래픽이 많으면 속도 저하가 생깁니다. 필요시 QoS 설정이나 회선 업그레이드를 고려하세요.
- 별도 서브넷(격리된 네트워크)을 원하면 확장 공유기를 WAN으로 연결해 라우팅 구성(별도의 NAT)을 할 수 있지만, 포트포워딩 등에서 불편하고 이중 NAT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모뎀/유선 장비 종류: 통신사에서 제공한 장비가 라우터 기능과 브리지 모드를 어떻게 지원하는지에 따라 약간의 설정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예: 모뎀 내 라우터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 Cat6 케이블 규격 및 커넥터(정확한 T568A/B) 확인
- 확장 공유기 DHCP 비활성화 및 고정 LAN IP 설정
- 무선 SSID/채널 설정(중복 채널 피하기)
추가 회선이 필요하시거나 장비 구매·설치·설정 대행을 원하시면 아래 링크로 연락하시면 365일, 24시간 전화 및 채팅 상담이 가능합니다.
http://pf.kakao.com/_qwqxkG/chat
설정 과정에서 원하시면 사용 중인 공유기 모델명과 통신사 장비 종류를 알려주시면 더 구체적으로 단계별로 도와드리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