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풀어주세요 꺼삐딴리 꺼삐딴리 읽고 푸는 문젠데 모르겟어요최대한 빨리 부탁드릴게요
꺼삐딴리 읽고 푸는 문젠데 모르겟어요최대한 빨리 부탁드릴게요
[01]
이 작품의 주인공 이인국은 자신의 이익과 성공을 위해서라면 시대와 상황에 맞춰 무엇이든 바꿀 수 있는
기회주의적 인물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제시된 주요 장면들을 통해 그의 이러한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딸의 이름을 바꾼 것: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식 이름인 '나미꼬'를 사용했다가, 해방 후에는 한국식 이름인 '나미'로 바꿉니다. 이는 격변하는 시대 상황에 따라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정체성을 바꾸는 행동을 보여줍니다.
일본어를 계속 사용한 것: 해방 이후에도 무의식적으로 일본어를 사용하는 모습은 그가 과거에 일본 권력에 얼마나 철저하게 순응하며 살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는 그의 삶에 깊이 배어 있는 식민지 잔재와 사대주의적 습성을 나타냅니다.
원칙을 답한 것: 사적인 자리에서도 학교 교장의 전화에는 바쁜 척하며 응답하는 모습은 그가 항상 권력과 연줄을 의식하고 행동하는 실리적이고 계산적인 인물임을 보여줍니다.
[02]
1. 이 작품이 그리고 있는 시대적 배경
이 작품은 해방 직후의 혼란스러운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새로운 이념과 사상으로 국가의 기틀을 바로잡지 못하고 외세의 영향을 받게 된 시기입니다.
일제에 협력했던 친일 행위자들이 처벌받지 않고 오히려 새로운 권력에 빌붙어 기득권을 유지하는 사회적 모순이 만연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주인공은 변신을 거듭하며 살아남는 모습을 통해, 비극적이고 혼란스러운 시대를 개인의 영달을 위해 이용하는 기회주의적인 지식인의 모습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2. 서술자가 '박사' 호칭을 계속 사용하는 까닭
서술자가 이인국에게 '박사'라는 호칭을 계속 사용하는 것은 반어적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박사'라는 호칭은 높은 학식과 도덕성을 갖춘 존경할 만한 인물에게 쓰는 말입니다.
하지만 이인국은 자신의 지식을 나라를 위해 쓰지 않고, 일제와 새로운 외세에 아부하며 개인의 생존과 이익만을 추구하는 기회주의적인 인물입니다.
따라서 서술자는 '박사'라는 호칭을 계속 사용함으로써, 이인국의 지식인으로서의 위선과 모순을 조롱하고 비판하려는 의도를 드러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