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에어코리아 여객운송직 차이와 하는 일 에어코리아 여객운송직은 그 지상직 직원? 하고 차이가 뭔가요?승무원이랑 다르게 기내
에어코리아 여객운송직은 그 지상직 직원? 하고 차이가 뭔가요?승무원이랑 다르게 기내 밖 공항에서 일한다는 건 아는데공항 지상직이랑은 차이가 뭔가요? 둘이 똑같은 건가요?그리고 하는 일도 궁금합니다 승무원과는 다르다는데업무가 훨씬 힘든지 궁금하네요
에어코리아 여객운송직과 공항 지상직의 차이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여객운송직은 '공항 지상직'에 속하는 세부 직무 중 하나입니다.
두 용어가 의미하는 범위에 차이가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여객운송직과 지상직의 차이
* 공항 지상직: 공항에서 근무하는 모든 직원을 통칭하는 넓은 개념입니다.
탑승 수속을 담당하는 직원, 항공권 발권을 돕는 직원, 수하물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직원, 게이트에서 탑승을 안내하는 직원 등 승객을 응대하는 다양한 직무를 모두 포함합니다.
* 여객운송직: 공항 지상직 중에서도 승객의 탑승 수속과 항공기 탑승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직무를 일컫는 말입니다. 흔히 항공사 유니폼을 입고 카운터나 게이트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정리하자면, 여객운송직은 지상직이라는 큰 틀 안에 포함되는 전문 직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객운송직이 하는 일
여객운송직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체크인 카운터 업무: 승객의 탑승 수속을 돕고, 항공권 발권 및 좌석 배정을 진행하며, 수하물을 부치는 업무를 처리합니다.
* 탑승구(Gate) 업무: 항공기 출발 직전에 탑승구에서 승객의 탑승권을 확인하고, 항공기 탑승을 안내하는 일을 합니다.
* 수하물 관련 업무: 수하물 분실, 파손, 지연 등과 관련된 민원을 해결합니다.
* 기타 서비스: 항공기 운항 지연이나 결항 등 비정상 상황 발생 시 승객을 안내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업무 강도 (승무원 vs. 여객운송직)
두 직업 모두 서비스직의 특성상 체력적, 감정적 소모가 큰 편입니다.
* 승무원: 기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장시간 서서 근무하며,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책임집니다.
기내 응급 상황에 대처해야 하고 불규칙한 비행 스케줄과 시차로 인해 신체적 피로도가 높습니다.
* 여객운송직: 정해진 근무 시간 동안 공항에서 근무하지만, 수많은 승객을 직접 대면해야 하는 업무 특성상 감정 노동이 심한 편입니다.
특히 항공기 지연이나 결항 등 돌발 상황 발생 시 모든 승객의 불만을 직접적으로 응대해야 하므로 스트레스가 매우 큽니다.
업무의 성격이 다르므로 어느 쪽이 더 힘들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여객운송직은 공항에서, 승무원은 기내에서 각각의 전문성을 가지고 일하는 직무라고 이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