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생명공학과 진학 선택과목 현재 고1이고 선택과목을 정해야 하는데 기하,화학,생명,지구 선택했는데 지구를 빼고 생윤을
현재 고1이고 선택과목을 정해야 하는데 기하,화학,생명,지구 선택했는데 지구를 빼고 생윤을 하는게 좋을까요?물리는 자신이 없어서 선택하면 점수만 낮게 나오고 망할 거 같아서 차라리 생윤을 고르고 기하랑 미적분 하는게 괜찮을까요?
질문자님께서는 현재 고1이시며 생명공학과 진학을 목표로 선택 과목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고 계시는군요. 기하, 화학, 생명, 지구를 선택한 상황에서 지구 대신 생윤을 고려하고 계시며, 물리 과목에 대한 부담감이 크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생명공학과나 생물학 관련 학과 진학을 고려할 때, 과학 과목의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
1. 필수 과학 과목: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기본적으로 화학과 생명 과목의 중요성이 매우 큽니다. 이 두 과목은 해당 전공의 핵심 기반이 되기 때문에 꾸준히 학습하시고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물리 과목에 대한 고려: 물론 물리에 자신이 없다고 느끼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명공학 중에서도 특히 생체의공학이나 나노바이오 등 일부 세부 분야에서는 물리학적 이해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대학에서 배우는 공학수학이나 전공과목을 이수할 때 물리가 기초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선택하지 않더라도 완전히 배제하기보다는 필요시 탐구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점수에 대한 부담이 크시다면, 물리II가 아닌 물리I을 이수하시거나, 다른 과학 과목에 집중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3. 수학 과목: 기하와 미적분은 이공계열 학과 진학에 매우 중요한 과목입니다. 두 과목 모두 심화 수학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과목이므로, 가능한 한 두 과목을 모두 이수하시고 좋은 성적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4. 지구과학 vs. 생윤:
* 지구과학: 생명공학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낮지만, 다른 탐구 영역을 넓힌다는 면에서는 의미가 있습니다.
* 생활과 윤리 (생윤): 사회탐구 과목으로,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고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생명공학과 진학을 위한 핵심적인 학업 역량을 보여주는 데에는 과학 과목보다 직접적인 영향이 적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생명공학과 진학을 목표로 하신다면 화학과 생명 과목은 반드시 포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학은 기하와 미적분을 모두 이수하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만약 물리 과목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크시다면 그 부분을 보완할 다른 전략을 고민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을 생윤으로 변경하는 것은 크게 불리하지는 않으나, 대학별로 이공계열 학생들에게 과학탐구 과목을 2과목 이상 필수로 지정하는 경우가 많으니 이 점을 학교 선생님 또는 입학처의 자료를 통해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궁극적으로는, 가장 잘 할 수 있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여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